대수적 위상수학(algebraic topology)의 초기 성공 중 하나는 콤팩트 곡면(compact surface)을 위상동형(homeomorphism)에 따라 분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목록에 있는 어떤 두 곡면도 서로 위상동형이 아니며 모든 콤팩트 곡면은 목록에 있는 어느 하나와 위상동형이 되는 콤팩트 곡면의 목록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우리가 이 장에서 다룰 문제이다.
이 절에서는 여러 콤팩트 연결 곡면(compact connected surface)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이고, 그들의 기본군(fundamental group)을 계산한다. 우리는 이 곡면들을 각각 평면의 다각형 영역(polygonal region)에서 “그 변들을 함께 붙여서” 얻은 몫공간(quotient space)으로 구성할 것이다.
이 붙이는 과정을 형식적으로 다루려면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우리가 “평면의 다각형 영역”이라고 부를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하자. 평면 의 한 점 와 양수 이 주어졌을 때, 중심이 이고 반지름이 인 원을 생각하자. 이고 인 유한 수열 이 주어졌을 때, 이 원 위에 놓인 점들 를 생각하자. 이 점들은 원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고, 이다. 과 를 통과하는 직선은 평면을 두 개의 닫힌 반평면(closed half-plane)으로 나눈다. 를 모든 점 를 포함하는 반평면이라고 하자. 그러면 공간
은 점 들에 의해 결정되는 다각형 영역(polygonal region) 이라 불린다. 점 는 의 꼭짓점(vertex)이라 불리고, 과 를 잇는 선분은 의 변(edge)이라 불린다. 의 변들의 합집합은 로 표기하고, 는 로 표기한다. 만약 가 의 임의의 점이라면, 는 와 의 점들을 잇는 모든 선분들의 합집합이며, 두 개의 그러한 선분은 오직 점 에서만 교차한다는 것을 보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에 있는 선분 이 주어졌을 때, 의 방향(orientation) 은 단순히 그 끝점들의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첫 번째 점, 는 방향이 주어진 선분의 시작점(initial point)이라 불리고, 두 번째 점 는 끝점(final point)이라 불린다. 우리는 종종 이 에서 로 방향이 주어졌다고 말하며, 에서 를 향하는 화살표를 위에 그려서 방향을 나타낸다. 만약 이 에서 로 방향이 주어진 또 다른 선분이라면, 에서 으로의 양의 선형 사상(positive linear map)은 의 점 를 의 점 로 보내는 위상동형사상 이다.
만약 두 다각형 영역 와 가 각각 꼭짓점 과 을 가지고, 이고 이라면, 에서 까지의 선분을 에서 까지의 선분으로 양의 선형 사상을 통해 보내는 와 사이의 명백한 위상동형사상 가 존재한다. 만약 와 가 각각 와 의 고정된 점이라면, 이 위상동형사상은 에서 의 점 까지의 선분을 에서 까지의 선분으로 선형적으로 사상함으로써 와 사이의 위상동형사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정의
평면의 다각형 영역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의 변들의 라벨링(labelling)은 의 변들의 집합에서 라벨(label)이라 불리는 집합 로 가는 사상이다. 의 각 변의 방향이 주어지고, 의 변들의 라벨링이 주어졌을 때, 우리는 의 점들 위에 다음과 같은 동치 관계(equivalence relation)를 정의한다: 의 각 점은 오직 자기 자신과만 동치이다. 같은 라벨을 가진 의 임의의 두 변이 주어졌을 때, 하나를 다른 하나 위로 보내는 양의 선형 사상을 라 하고, 첫 번째 변의 각 점 를 두 번째 변의 점 와 동치라고 정의한다. 이 관계는 위에 동치 관계를 생성한다. 이 동치 관계로부터 얻은 몫공간 는 주어진 방향과 라벨링에 따라 의 변들을 붙여서 얻어졌다고 말한다.
예제 1
그림에 나타난 삼각형 영역의 변들의 방향과 라벨링을 생각해보자. 이 그림은 결과로 나오는 몫공간이 단위 공(unit ball)과 위상동형임을 보이는 방법을 나타낸다.
예제 2
그림에 나타난 정사각형의 변들의 방향과 라벨링은 구면 과 위상동형인 공간을 만든다.
이제 우리는 그림을 그리지 않고 다각형 영역의 변들의 방향과 라벨을 명시하는 편리한 방법을 설명한다.
정의
를 연속적인 꼭짓점 ()을 가진 다각형 영역이라 하자. 의 변들의 방향과 라벨링이 주어졌을 때, 을 의 변들에 할당된 서로 다른 라벨들이라 하자. 각 에 대해, 를 변 에 할당된 라벨이라 하고, 이 변에 할당된 방향이 에서 로 가는 것이면 , 그 반대이면 이라 하자. 그러면 의 변의 개수, 변의 방향, 그리고 라벨링은 기호
에 의해 완전히 명시된다. 우리는 이 기호를 의 변들에 대한 길이 의 라벨링 계획(labelling scheme)이라 부른다. 이것은 단순히 지수 또는 을 가진 라벨들의 수열이다.
우리는 보통 라벨링 계획을 제시할 때 인 지수는 생략한다. 그러면 예제 1의 방향과 라벨링은, 만약 우리가 삼각형의 위 꼭짓점을 로 잡는다면, 라벨링 계획 로 명시될 수 있다. 만약 다른 꼭짓점 중 하나를 로 잡는다면, 우리는 라벨링 계획 또는 중 하나를 얻는다.
유사하게, 예제 2에 나타난 방향과 라벨링은 (만약 우리가 정사각형의 왼쪽 아래 모서리에서 시작한다면) 기호 로 명시될 수 있다.
라벨링 계획에서 항들의 순환 순열(cyclic permutation)은 그 계획을 사용하여 형성된 공간 를 위상동형에 따라 바꾸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나중에 우리는 공간 를 위상동형에 따라 바꾸지 않는 라벨링 계획에 가할 수 있는 다른 수정 사항들을 고려할 것이다.
예제 3
우리는 이미 토러스(torus)가 몫사상 을 통해 단위 정사각형의 몫공간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 동일한 몫공간은 그림에 나타난 정사각형 변들의 방향과 라벨링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계획 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예제 4
사영평면(projective plane) 는 각 에 대해 와 를 동일시하여 단위 공 로부터 얻은 몫공간과 위상동형이다. 단위 정사각형은 단위 공과 위상동형이므로, 이 공간은 또한 그림에 나타난 단위 정사각형 변들의 방향과 라벨링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이것은 계획 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이제 변들을 붙여 공간을 형성할 때 하나의 다각형 영역에만 국한될 이유가 없다. 서로소인 다각형 영역들의 유한 집합 와 그 변들의 방향 및 라벨링이 주어졌을 때, 하나의 영역에서와 똑같은 방식으로 변들을 붙여 몫공간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향과 라벨링은 개의 라벨링 계획을 통해 유사한 방식으로 명시된다. 특정한 계획에 따라, 얻어지는 공간 는 연결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예제 5
그림은 두 개의 정사각형 변들의 라벨링을 보여주며, 그 결과로 나오는 몫공간은 연결이다. 이 공간은 뫼비우스 띠(Möbius band)라 불린다. 물론, 이 공간은 라벨링 계획 를 사용하여 하나의 정사각형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확인할 수 있다.
예제 6
그림은 두 개의 정사각형에 대한 라벨링 계획을 보여주며, 그 결과로 나오는 몫공간은 연결이 아니다.
정리 74.1
어떤 라벨링 계획에 따라 유한 개의 다각형 영역들의 변들을 붙여서 얻은 공간 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증명
단순화를 위해, 가 하나의 다각형 영역으로부터 형성된 경우를 다룬다. 일반적인 경우는 유사하다. 몫사상이 연속이므로 가 콤팩트인 것은 자명하다. 가 하우스도르프임을 보이기 위해서는 몫사상 가 닫힌 사상(closed map)임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보조정리 73.3 참조) 이를 위해, 우리는 의 각 닫힌 집합 에 대해, 집합 가 에서 닫혀 있음을 보여야 한다. 그러면 몫 위상의 정의에 따라 가 에서 닫혀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제 는 의 점들과 사상에 의해 의 점들에 붙여지는 의 모든 점들로 구성된다. 이 점들은 결정하기 쉽다. 의 각 변 에 대해, 를 의 콤팩트 부분공간 라 하자. 만약 가 에 붙여지는 의 변이고 가 붙이는 위상동형사상이라면, 집합 는 공간 를 포함한다. 실제로, 는 와 에 붙여지는 의 모든 변 에 대한 공간 들의 합집합과 같다. 이 합집합은 콤팩트이므로 와 에서 닫혀있다.
가 집합 와 의 모든 변 에 대한 집합 들의 합집합이므로, 이는 에서 닫혀있다.
이제 가 다각형 영역의 변들을 붙여서 얻어졌을 때, 몫사상 가 다각형 영역의 모든 꼭짓점을 의 한 점으로 사상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주목하자. 예제 3의 토러스의 경우, 몫사상은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반면, 예제 1과 2의 공과 구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우리는 가 이 조건을 만족시킬 때 특히 기쁜데, 이 경우 의 기본군을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리 74.2
를 다각형 영역이라 하고,
을 의 변들에 대한 라벨링 계획이라 하자. 를 그 결과로 나오는 몫공간이라 하고, 를 몫사상이라 하자. 만약 가 의 모든 꼭짓점을 의 한 점 로 사상하고, 가 라벨링 계획에 나타나는 서로 다른 라벨들이라면, 는 개의 생성원 를 갖는 자유군(free group)을 원소
을 포함하는 최소 정규 부분군(least normal subgroup)으로 나눈 몫군과 동형이다.
증명
증명은 §73에서 토러스에 대해 제시한 증명과 유사하다. 가 의 모든 꼭짓점을 의 한 점으로 사상하므로, 공간 는 개의 원들의 쐐기(wedge of k circles)이다. 각 에 대해, 로 라벨링된 의 한 변을 선택하자. 를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이 주어진 이 변 위로의 양의 선형 사상이라 하고, 라 하자. 그러면 루프 는 에 대한 자유 생성원 집합을 나타낸다. 를 반시계 방향으로 한 번 도는 루프 는 를 생성하고, 루프 는 루프
와 같다. 이제 정리는 정리 72.1로부터 나온다.
정의
각형 영역 로부터 라벨링 계획
에 의해 얻어지는 공간을 생각하자. 이 공간은 토러스의 겹 연결합(-fold connected sum of tori), 또는 간단히 겹 토러스(-fold torus)라 불리며, 로 표기된다.
2겹 토러스는 위의 그림에 나타나 있다. 만약 우리가 표시된 선 를 따라 다각형 영역 를 나누면, 결과로 나오는 각 조각은 열린 원판이 제거된 토러스를 나타낸다. 만약 이 조각들을 곡선 를 따라 붙이면, §60에서 소개하고 이중 토러스(double torus)라고 불렀던 공간을 얻는다. 유사한 논증으로 3겹 토러스 는 아래 그림의 곡면으로 그려질 수 있음을 보인다.
정리 74.3
를 겹 토러스라 하자. 그러면 는 개의 생성원 을 갖는 자유군을 원소
을 포함하는 최소 정규 부분군으로 나눈 몫군과 동형이다. 여기서 는 평소와 같다.
증명
정리 74.2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 대한 라벨링 계획 하에서 다각형 영역의 모든 꼭짓점이 같은 동치류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이것은 여러분에게 맡긴다.
정의
이라 하자. 평면의 각형 영역 로부터 라벨링 계획
에 의해 얻어지는 공간을 생각하자. 이 공간은 사영평면의 겹 연결합(-fold connected sum of projective planes), 또는 간단히 겹 사영평면(-fold projective plane)이라 불리며, 로 표기된다.
2겹 사영평면 는 그림에 나타나 있다. 이 그림은 이 공간이 두 개의 사영평면 복사본에서 각각 열린 원판을 제거하고, 남은 조각들을 제거된 원판의 경계를 따라 붙여서 어떻게 얻어지는지를 보여준다.1 자체와 마찬가지로, 겹 사영평면은 에 매장될 수 없기 때문에 의 곡면으로 그릴 편리한 방법이 없다. 그러나 때로는 그것이 자신과 교차하는 의 곡면으로 그릴 수 있다. (이 경우 우리는 매장된(imbedded) 곡면이 아니라 몰입된(immersed) 곡면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 주제를 연습문제에서 탐구할 것이다.
정리 74.4
를 겹 사영평면이라 하자. 그러면 는 개의 생성원 을 갖는 자유군을 원소
을 포함하는 최소 정규 부분군으로 나눈 몫군과 동형이다.
증명
에 대한 라벨링 계획 하에서 다각형 영역의 모든 꼭짓점이 같은 동치류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기만 하면 된다. 이것은 여러분에게 맡긴다.
콤팩트 곡면을 형성하는 다른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와 각각에서 열린 원판을 제거하고, 남은 공간들을 제거된 원판들의 경계를 따라 붙일 수 있다. 이 공간이 라벨링 계획 에 의해 6각형 영역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 지점에서 멈출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미 콤팩트 연결 곡면의 완전한 목록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곡면에 대한 기본 분류 정리(basic classification theorem for surfaces)이며, 우리는 곧 이를 고려할 것이다.
Footnotes
-
klein bottle와 위상동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