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우스 사상(Gauss map)과 제2 기본 형식(second fundamental form)에 관련된 개념들은 국소 좌표계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이를 통해 가우스 곡률(Gaussian curvature)과 평균 곡률(mean curvature)을 계산하고, 곡면의 국소적 형태를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공식들을 유도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모든 매개화 는 곡면 에 주어진 향(orientation) 과 호환된다고 가정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가우스 사상 미분(Differential of the Gauss Map)
점 와 그 점에서의 매개화 가 주어졌을 때, 곡선 위에서 가우스 사상 의 미분 는 다음과 같다.
이때 와 는 접평면 에 속하므로, 기저 에 대한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이를 행렬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행렬 는 가 정규직교기저가 아닌 한, 일반적으로 대칭행렬이 아니다. 한편, 기저 에 대한 제2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때 제2 기본 형식의 계수 는 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바인가르텐 방정식 (Weingarten Equations)
의 행렬 성분 는 제1 및 제2 기본 형식의 계수들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관계식들은 다음 행렬 방정식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1 기본 형식 행렬의 역행렬은 다음과 같다.
이를 통해 의 행렬 성분을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관계식을 바인가르텐 방정식이라 한다.
바인가르텐 방정식으로부터 가우스 곡률 와 평균 곡률 를 제1, 제2 기본 형식의 계수들로 표현할 수 있다. 가우스 곡률 는 의 행렬식이다.
주곡률 는 의 고윳값(eigenvalue)이므로, 에 대하여 를 만족한다. 이는 선형 변환 가 비가역적임을 의미하며, 따라서 행렬식은 이 된다.
이므로,
이 이차 방정식의 두 근이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해 평균 곡률 는 다음과 같다.
결과적으로 주곡률 는 다음의 특성 방정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주곡률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곡면의 국소적 위치 (Local Position of the Surface)
점 를 원점으로, 를 -평면으로 설정하면, 근방의 점 에서 접평면까지의 거리 는 테일러 전개에 의해 다음과 같이 근사된다.
여기서 이다.
- 타원점 (Elliptic point, ): 이므로 는 정부호(positive definite) 또는 음부호(negative definite)이다. 따라서 곡면은 국소적으로 접평면의 한쪽에만 놓인다.
- 쌍곡점 (Hyperbolic point, ): 이므로 는 부정부호(indefinite)이다. 따라서 곡면은 의 임의의 근방에서 접평면의 양쪽에 걸쳐 존재한다.
점근선과 곡률선 (Asymptotic Curves and Lines of Curvature)
- 점근선(Asymptotic Curve)은 법곡률이 인 방향, 즉 인 방향을 따르는 곡선이다. 점근선의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곡률선(Line of Curvature)은 모든 점에서 접선 방향이 주곡률 방향과 일치하는 곡선이다. 곡률선의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비제점(non-umbilical point) 근방에서 좌표곡선이 곡률선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이 경우 주곡률은 로 매우 간단하게 계산된다.1
가우스 곡률의 기하학적 해석 (Geometric Interpretation of Gaussian Curvature)
가우스 곡률 는 가우스 사상 이 점 근방의 면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낸다. 점 를 포함하고 면적이 인 작은 영역 와 그 상 의 (부호를 고려한) 면적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면적 는 이면 양수, 이면 음수로 간주한다. 이는 가우스 사상이 타원점()에서는 향을 보존하고, 쌍곡점()에서는 향을 반전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 수식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부호를 고려한 면적의 적분은 다음과 같다.
이로부터 위의 극한 관계가 유도된다.
평면 곡선 위의 한 점 에서의 곡률 는, 를 포함하는 미소 호의 길이 와 그에 대응하는 접선 지시곡선(tangent indicatrix)의 호의 길이 사이의 비율의 극한으로 정의된다. 즉, 호의 길이가 으로 수렴할 때의 비율값이다.2
- 평면 곡선 가 주어졌을 때, 곡선 위의 각 점에서의 단위 접선벡터(unit tangent vector) 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벡터들은 크기가 이고 곡선에 접하는 방향을 가리킵니다. 이 모든 접선벡터들을 원점으로 평행이동시키면, 벡터들의 끝점은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인 단위 원(unit circle) 위에 새로운 곡선을 그린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곡선을 접선 지시곡선(tangent indicatrix)이라고 한다.
주요 예제
원환면 (Torus)
매개화 로 주어진 원환면의 경우,
- 제1 기본 형식 계수:
- 제2 기본 형식 계수:
- 가우스 곡률: 의 부호에 따라 원환면은 타원점(), 쌍곡점(), 포물점()으로 구성된 영역들로 나뉜다.
회전곡면 (Surfaces of Revolution)
생성곡선이 호장 로 매개화된 이고 일 때, 이므로 자오선과 평행선은 곡률선이다. 가우스 곡률과 주곡률은 다음과 같다.
- 가우스 곡률:
- 주곡률:
함수의 그래프 (Graph of a Function)
곡면이 로 주어지고 로 매개화하면, 제2 기본 형식의 계수는 다음과 같다.
가우스 곡률과 평균 곡률은 다음과 같다.
점 를 원점으로, 를 -평면으로 설정하면(), 에서의 제2 기본 형식은 함수 의 헤세 행렬(Hessian matrix)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 형식 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