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군이라 하고, 의 원소들의 족이라고 하자. 의 모든 원소가 원소들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쓰일 수 있을 때, 원소 들이 를 생성한다(generate)고 말한다. 만약 족 가 유한하다면, 는 유한 생성(finitely generated)되었다고 말한다.

정의

를 군 의 원소들의 족이라고 하자. 각 의 무한 순환 부분군(infinite cyclic subgroup) 를 생성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가 군 들의 자유 곱(free product)이라면, 자유 군 (free group)이라고 하며, 족 자유 생성원계 (system of free generators)라고 한다.

이 경우, 의 각 원소 에 대해, 를 나타내는 군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유일한 축소된 단어(reduced word)가 존재한다. 이는 이라면, 가 유일하게 다음과 같은 형태로 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고 각 에 대해 이다. (물론, 는 음수일 수 있다.)

자유 군은 다음 확장 속성(extension property)으로 특징지어진다.

보조정리 69.1

를 군이라 하고, 의 원소들의 족이라고 하자. 만약 가 자유 생성원계 를 가지는 자유 군이라면,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임의의 군 와 임의의 의 원소들의 족 가 주어졌을 때, 각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가 존재한다. ()

더욱이, 는 유일하다. 역으로, 확장 조건 ()가 성립하면, 는 자유 생성원계 를 가지는 자유 군이다.

증명

만약 가 자유 군이라면, 각 에 대해 에 의해 생성된 군 는 무한 순환군이므로, 를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가 존재한다. 그러면 보조정리 68.1이 적용된다. 역을 증명하기 위해, 고정된 첨수 가 있다고 하자. 가정에 의해, 이고 에 대해 인 준동형사상 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군 가 무한 순환군임이 따라 나온다. 그러면 보조정리 68.5가 적용된다.

이전 절의 결과들(특히, 보조정리 68.6)은 다음을 의미한다.

정리 69.2

이고, 가 각각 자유 생성원계 를 가지는 자유 군이라고 하자. 만약 가 서로소이면, 는 자유 생성원계 를 가지는 자유 군이다.

정의

임의의 첨수족 가 있다고 하자. 에 대한 형태의 모든 기호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으로 정의하여 를 군으로 만든다. 그러면 의 항등원이고, 의 역원이다. 은 간단히 로 나타낸다. 군 들의 외부 자유 곱을 원소 들에 대한 자유 군 이라고 한다.

가 원소 들에 대한 자유 군이면, 우리는 보통 표기를 남용하여 외부 자유 곱의 구성에 포함된 단사준동형사상 에 의한 상과 군 의 원소들을 동일시한다. 그러면 각 의 원소로 취급되며, 족 에 대한 자유 생성원계를 형성한다.

자유 군과 자유 아벨 군 사이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대수학의 교환자 부분군(commutator subgroup) 개념을 상기해야 한다.

정의

를 군이라고 하자. 일 때, 의 원소

교환자 (commutator)라고 한다. 의 모든 교환자들의 집합에 의해 생성된 의 부분군을 교환자 부분군 이라고 하며 로 나타낸다.

다음 결과는 익숙할 수 있지만, 완전성을 위해 증명을 제공한다.

보조정리 69.3

가 주어졌을 때, 부분군 의 정규 부분군이며 몫군 는 아벨 군이다. 만약 가 아벨 군 로 가는 임의의 준동형사상이면, 의 핵은 를 포함하므로, 는 준동형사상 를 유도한다.

증명

1단계. 먼저 교환자의 임의의 켤레가 에 있음을 보인다.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이는 원하는 대로 에 있다.

2단계. 의 정규 부분군임을 보인다. 의 임의의 원소라고 하자. 의 임의의 켤레 또한 에 있음을 보인다. 원소 는 교환자들과 그 역원들의 곱이다. 이므로, 는 실제로 교환자들의 곱과 같다. 이라 하자. 여기서 각 는 교환자이다. 그러면

이는 1단계에 의해 의 원소들의 곱이므로 에 속한다.

3단계. 가 아벨 군임을 보인다. 라고 하자. 임을 보이고자 한다. 즉, 이다. 이는 라는 방정식과 동치이며, 이 방정식은 의 원소라는 사실로부터 따라 나온다.

4단계. 증명을 마치기 위해, 가 아벨 군이므로 가 각 교환자를 의 항등원으로 보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의 핵은 를 포함하므로, 는 원하는 준동형사상 를 유도한다.

정리 69.4

만약 가 자유 생성원 들을 가지는 자유 군이면, 를 기저로 가지는 자유 아벨 군이다. 여기서 에서 의 잉여류(coset)를 나타낸다.

증명

보조정리 67.7을 적용한다. 아벨 군 의 임의의 원소들의 족 가 주어졌을 때, 각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준동형사상 가 존재한다. 가 아벨 군이므로, 의 핵은 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 보내는 준동형사상 를 유도한다.

보조정리 69.5

만약 개의 자유 생성원을 가지는 자유 군이면, 의 임의의 자유 생성원계는 개의 원소를 가진다.

증명

자유 아벨 군 는 계수 을 가진다.

자유 군의 속성은 여러 면에서 자유 아벨 군의 속성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가 자유 아벨 군 의 부분군이면, 자체도 자유 아벨 군이다. (G가 유한 계수를 가지는 경우의 증명은 §67의 연습문제 6에 개요가 나와 있으며, 일반적인 경우의 증명도 비슷하다.) 자유 군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성립하지만, 그 증명은 상당히 더 어렵다. 우리는 14장에서 덮개 공간(covering space) 이론에 기반한 증명을 제시할 것이다.

다른 면에서, 자유 군은 자유 아벨 군과 매우 다르다. 계수 의 자유 아벨 군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부분군의 계수는 최대 이다. 그러나 자유 군에 대한 유사한 결과는 성립하지 않는다. 개의 자유 생성원계를 가지는 자유 군일 때, 의 부분군에 대한 자유 생성원계의 크기는 보다 클 수 있으며, 심지어 무한할 수도 있다! 우리는 나중에 이 상황을 탐구할 것이다.

생성원과 관계 (Generators and relations)

군론의 기본적인 문제 중 하나는 주어진 두 군이 동형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자유 아벨 군의 경우,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두 자유 아벨 군은 같은 크기의 기저를 가질 때 그리고 그때에만 동형이다. 비슷하게, 두 자유 군은 그들의 자유 생성원계가 같은 크기를 가질 때 그리고 그때에만 동형이다. (우리는 유한한 크기의 경우에 대해 이 사실들을 증명했다.)

그러나 임의의 군에 대해서는 답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유한 생성된 아벨 군의 경우에만 명확한 답이 있다.

만약 가 아벨 군이고 유한 생성되었다면, 가 두 부분군 의 직합 라는 기본 정리가 있다. 여기서 는 유한 계수의 자유 아벨 군이고, 의 모든 유한 위수 원소들로 구성된 부분군이다. (의 꼬임 부분군(torsion subgroup)이라고 한다.) 의 계수는 의 꼬임 부분군에 의한 몫군의 계수와 같기 때문에 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된다. 이 수는 종종 의 베티 수(betti number)라고 불린다. 더욱이, 부분군 자체도 직합이다. 그것은 위수가 소수의 거듭제곱인 유한 순환군들의 유한 직합이다. 이 군들의 위수는 에 의해 (따라서 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되며, 의 기본 약수(elementary divisor)라고 불린다. 따라서 의 동형류는 베티 수와 기본 약수를 명시함으로써 완전히 결정된다.

가 아벨 군이 아닐 경우, 가 유한 생성되었더라도 상황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를 결정하기 위해 무엇을 명시할 수 있을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다음과 같다:

가 주어졌을 때, 에 대한 생성원 족 가 주어졌다고 하자. 를 원소 들에 대한 자유 군이라고 하자. 그러면 라는 명백한 사상은 에서 로 가는 전사 준동형사상 로 확장된다. 의 핵과 같다면, 이다. 따라서 를 명시하는 한 가지 방법은 에 대한 생성원 족 를 주고, 어떻게든 부분군 을 명시하는 것이다. 의 각 원소는 위의 관계(relation)라고 불리며, 은 관계 부분군(relations subgroup)이라고 불린다. 우리는 에 대한 생성원 집합을 줌으로써 을 명시할 수 있다. 그러나 에서 정규이므로, 더 작은 집합으로 을 명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원소들을 포함하는 의 최소 정규 부분군이 이 되도록 하는 의 원소들의 족 를 줌으로써 을 명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우리는 족 에 대한 완전한 관계 집합(complete set of relations)이라고 부른다.

의 각 원소는 에 속하므로, 물론 생성원 들의 거듭제곱으로 이루어진 유일한 축소된 단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의 생성원들에 대한 관계를 말할 때, 우리는 때때로 그것이 나타내는 의 원소 대신 이 축소된 단어를 지칭하기도 한다. 문맥이 의미를 명확하게 할 것이다.

정의

가 군일 때, 표현 (presentation)은 에 대한 생성원 족 에 대한 완전한 관계 집합 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는 집합 에 대한 자유 군의 원소이다. 만약 족 가 유한하다면, 는 물론 유한 생성된다. 만약 족이 모두 유한하다면, 유한 표현되었다 (finitely presented)고 하며, 이 족들은 에 대한 유한 표현 (finite presentation)을 형성한다.

를 명시하는 이 절차는 만족스럽지 않다. 에 대한 표현은 동형사상을 제외하고 를 유일하게 결정한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두 표현이 동형인 군들을 낳을 수 있다. 더욱이, 유한한 경우에도 두 다른 표현으로부터 그들이 결정하는 군들이 동형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효과적인 절차가 없다. 이 결과는 군에 대한 “동형 문제의 비가해성(unsolvability of the isomorphism problem)“으로 알려져 있다.

만족스럽지 않지만,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