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 변수 함수 연구의 핵심 정리 중 하나는 해석 함수(analytic function)에 대한 코시 적분 공식(Cauchy integral formula)에 관한 것이다. 이 정리의 고전적인 버전을 위해서는 조르당 곡선 정리뿐만 아니라, 지난 절에서 다룬 감김수 정리도 가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사용하지 않고 코시 적분 정리를 재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버전의 정리는 다소 덜 자연스럽지만, 현재 이 주제에 관한 교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조르당 곡선 정리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구성된 버전으로부터 고전적인 버전의 코시 적분 공식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삼을 것이다.

우리는 “감김수(winding number)“의 개념을 더 형식적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정의

안의 루프라 하고, 의 상(image)에 있지 않은 점이라고 하자.

로 두면 안의 루프이다. 을 표준 덮개 사상(standard covering map)이라 하고, 로의 들어올림(lifting)이라고 하자. 는 루프이므로, 차이 은 정수이다. 이 정수를 에 대한 감김수(winding number) 라고 부르고, 로 표기한다.

의 들어올림 선택에 독립적이라는 점에 유의하자. 만약 의 한 들어올림이라면, 들어올림의 유일성은 의 다른 모든 들어올림이 어떤 정수 에 대해 형태를 가짐을 의미한다.

정의

를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연속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각 에 대해, 사상 안의 루프이다. 사상 를 루프 사이의 자유 호모토피(free homotopy) 라고 부른다. 이것은 루프의 밑점(base point)이 호모토피 동안 움직이는 것이 허용되는 루프의 호모토피이다.

보조정리 66.1

안의 루프라고 하자. (a) 만약 의 역경로(reverse)라면, 이다. (b) 만약 안에 놓인 루프들을 통해 와 자유 호모토픽(freely homotopic)하다면, 이다. (c) 만약 의 같은 성분에 속한다면, 이다.

증명

(a) 를 계산하기 위해, 정의 전반에 걸쳐 로 바꾼다. 이는 에 부호를 바꾸는 효과를 가진다. (b) 사이의 자유 호모토피라고 하자. 을 다음 방정식으로 정의하자.

로의 들어올림이라고 하자. 그러면 는 각 에 대한 정수이다. 연속적이므로, 이것은 상수이다. (c) 에서 에서 로 가는 경로라고 하자. 정의에 의해, 이다. 에서 사이의 자유 호모토피이므로, 우리의 결과가 따른다.

정의

안의 루프라고 하자. 만약 이거나 점들 중 하나가 이고 다른 하나가 일 때만 이라면, 단순 루프(simple loop) 라고 부른다. 만약 가 단순 루프라면, 그 상집합(image set)은 안의 단순 닫힌 곡선이다.

정리 66.2

안의 단순 루프라고 하자. 만약 의 유계가 아닌 성분에 속한다면, 이다. 반면에 가 유계 성분에 속한다면, 이다.

증명

이므로, 우리는 인 경우로 제한할 수 있다. 더욱이, 우리는 의 밑점이 양의 -축 위에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의 밑점이 그러한 점이 될 때까지 을 점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를 자유 호모토피에 의해 수정하므로, 정리의 결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를 양의 -축 위의 한 점 을 밑점으로 하는 안의 단순 루프라고 하자. 를 단순 닫힌 곡선 라고 하자. 만약 의 유계 성분에 속한다면 를 생성하고, 반면에 이 유계가 아닌 성분에 속한다면 는 자명(trivial)함을 보인다.

을 표준 몫 사상(standard quotient map)이라 하면, 사상 는 위상동형사상 를 유도한다. 원소 의 기본군을 생성하므로, 의 기본군을 생성한다. 만약 의 유계 성분에 속한다면, 정리 65.2는 의 기본군을 생성함을 말해준다. 여기서 은 포함사상이다. 다른 한편, 만약 의 유계가 아닌 성분에 속한다면, 보조정리 61.2에 의해 는 널호모토픽하므로, 는 자명하다.

이제 우리는 만약 를 생성하면 이고, 만약 가 자명하면 임을 보인다. 에서 으로의 축소(retraction) 가 기본군의 동형사상을 유도하므로, 루프 는 첫 번째 경우에 의 생성원을 나타내고, 두 번째 경우에 항등원을 나타낸다. 만약 우리가 정리 54.5의 증명에서 구성한 동형사상 를 살펴보면, 이는 우리가 에서 시작하는 의 경로 로 들어올릴 때, 경로 가 첫 번째 경우에는 에서 끝나고, 두 번째 경우에는 에서 끝남을 의미한다.

정의

안의 단순 루프라고 하자. 만약 유계 성분의 어떤 (따라서 모든 )에 대해 이면, 반시계 방향 루프(counterclockwise loop) 라고 한다. 만약 이면, 시계 방향 루프(clockwise loop) 라고 한다. 표준 루프 는 따라서 반시계 방향 루프이다.

복소 변수에의 응용

이제 감김수를 복소 선적분(complex line integral)과 관련시킨다.

보조정리 66.3

를 복소 평면 안의 조각마다 미분 가능한(piecewise-differentiable) 루프라 하고, 의 상에 있지 않은 점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 방정식은 종종 의 감김수의 정의로 사용된다.

증명

증명은 간단한 계산 연습이다. 을 표준 덮개 사상이라고 하자. 라고 하자. 로의 들어올림이라고 하자. 라고 하자. 그러면 이므로,

정리 66.4 (코시 적분 공식-고전적 버전)

를 복소 평면 안의 단순 닫힌 조각마다 미분 가능한 곡선이라고 하자. 의 유계 성분이라고 하자. 만약 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에서 해석적(analytic)이라면, 의 각 점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부호는 가 반시계 방향으로 향하면 이고, 그렇지 않으면 이다.

증명

우리는 이 공식을 Ahlfors [A]에서 증명된 버전으로부터 유도한다. 그 버전은 다음과 같다: 를 영역 에서 해석적이라고 하자. 안의 조각마다 미분 가능한 루프라고 하자. 에 있지 않은 각 에 대해 이라고 가정하자. 만약 이고 의 상에 있지 않다면,

우리는 이 결과를 우리의 단순 닫힌 곡선 의 조각마다 미분 가능한 매개화(parametrization) 에 적용한다. 에 있지 않은 각 에 대해 조건은 성립하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의 유계가 아닌 성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에 있을 때마다 이며, 부호는 정리 66.2에 의해 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정리가 따른다.

고전적인 버전의 코시 적분 정리는 조르당 곡선 정리를 알지 못하면 기술조차 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것을 증명하려면 단순 닫힌 곡선의 감김수에 대한 지식까지, 훨씬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 이 후자의 결과는 (적어도 미분 가능한 경우에) 해석학에서 증명되는 그린 정리(Green’s Theorem)의 일반적인 버전을 사용하여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증명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 증명은 연습문제 2에 개요가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