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수에 관한 기본 사실 중 하나는 실수 또는 복소수 계수를 갖는 차 다항 방정식

은 (중복도를 포함하여) 개의 근을 갖는다는 것이다. 아마도 고등학교 대수학 시간에 이 사실을 처음 들었겠지만, 그 당시에 증명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사실 그 증명은 꽤 어렵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양의 차수를 갖는 모든 다항 방정식이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수학의 기법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증명은 길고 고되다. 또는 복소 변수의 해석 함수 이론을 발전시켜 리우빌 정리의 사소한 따름정리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원의 기본군에 대한 우리의 계산의 비교적 쉬운 따름정리로 증명할 수도 있다. 이제 우리는 이 방법을 사용한다.

정리 56.1 (대수학의 기본 정리)

일 때, 실수 또는 복소수 계수를 갖는 차 다항 방정식

은 적어도 하나의 (실수 또는 복소수) 근을 갖는다.

증명

1단계. 복소수 에 대해 으로 주어진 사상 을 생각하자. 우리는 유도된 준동형사상 가 단사임을 보인다.

에서 표준 고리인

로 두자. 에 의한 이 고리의 상은

이다. 이 고리는 덮개 공간 에서 경로 로 들어올려진다. 그러므로 고리 와 정수군 사이의 표준 동형사상 하에서 정수 에 대응하는 반면, 는 숫자 에 대응한다. 따라서 의 기본군에서 “n을 곱하는 것”과 같으므로, 특히 는 단사이다.

2단계. 만약 인 사상이라면, 는 널호모토픽이 아님을 보인다.

사상 는 1단계의 사상 와 포함 사상 의 합성이다. 이제 는 단사이고, 의 수축이기 때문에 도 단사이다. 그러므로 는 단사이다. 따라서 는 널호모토픽일 수 없다.

3단계. 이제 정리의 특별한 경우를 증명한다. 다항 방정식

이 주어졌을 때,

이라고 가정하고, 이 방정식이 단위 공 안에 근을 가짐을 보인다.

그러한 근이 없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우리는 방정식

에 의해 사상 을 정의할 수 있다. 에 제한한 것으로 두자. 는 단위 공에서 으로 확장되므로, 는 널호모토픽이다.

반면에, 우리는 와 2단계의 사상 사이의 호모토피 를 정의할 것이다. 는 널호모토픽이 아니므로 모순이 생긴다. 우리는 을 방정식

으로 정의한다. 그림 56.1을 참조하라. 는 결코 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

4단계. 이제 일반적인 경우를 증명한다. 다항 방정식

이 주어졌을 때, 양의 실수 를 선택하고 를 대입하자. 우리는 방정식

또는

을 얻는다. 이 방정식이 근 를 갖는다면, 원래 방정식은 근 를 갖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되도록 를 충분히 크게 선택하여, 정리를 3단계에서 고려한 특별한 경우로 환원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