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topology)과 위상공간(topological spaces)

위상의 기저(basis)

연속성(continuity)

부분공간(subspace)

곱공간(product space)

몫공간(quotient space)

거리공간(metric space)

완비성(completeness)

콤팩트성(compactness)

연결성(connectedness)

수열(sequences)

가산성(countability)

분리성(separability)

거리공간화(metrization)

국소적 옹골성(local compactness)

티체 확장정리(Tietze extension)

완비 거리 공간(complete metric space)

베어 카테고리(Baire category)

위에서 연속이지만 모든 점에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가 존재함을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 그 증명의 개요를 설명하라.

이 증명은 함수 공간을 완비 거리 공간으로 보고, 그 안에서 ‘미분 가능한 점이 하나라도 있는 함수’들의 집합이 위상적으로 “매우 작은” 부분집합임을 보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 함수 공간 설정 : 구간 위의 연속 함수들의 집합 에 균등 거리(uniform metric)를 부여한다. 이 공간은 완비 거리 공간이므로 베어 공간이다.

  2. “나쁜” 함수의 집합 정의 : 우리는 ‘모든 곳에서 심하게 뾰족한’ 함수들의 집합이 이 공간에서 조밀(dense)함을 보일 것이다. 각 자연수 에 대해, 을 다음과 같이 더 정확하게 정의한다: 이는 “함수 의 그래프 위의 모든 점 근방에, 그 점과 잇는 평균변화율(secant slope) 의 절댓값이 을 초과하는 점 가 항상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3. 의 성질 증명 :

  • 에서 열린집합 임을 보인다.

  • 에서 조밀한(dense) 집합 임을 보인다. 이 단계가 핵심이며, 임의의 연속 함수를 뾰족한 톱니 모양의折선 함수로 원하는 만큼 가깝게 근사할 수 있음을 보여 증명한다.

  1. 베르의 범주 정리 적용 : 는 베어 공간이므로, 조밀한 열린집합들의 가산 교집합인 또한 조밀하다. 특히, 이 교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2. 결론 : 교집합 에 속하는 임의의 함수 는 모든 에 대해 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는 의 임의의 점 에서 미분계수가 유한한 값으로 수렴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는 연속이지만 모든 점에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 가 된다.

호모토피(homotopy)와 호모토피 동치(homotopy equivalence)

기본군(fundamental group)

덮개공간(covering space)

덱 변환(deck transformation)

사이퍼드-반 캄펜 정리(Seifert-Van Kampen theorem)

곡면의 분류(classification of surfaces)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