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의 연속성 (Continuity in )
열린 공과 근방 (Open Ball and Neighborhood)
점 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인 열린 공(open ball)은 집합 이다. 점 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을 의 근방(neighborhood)이라 한다.
연속 함수 (Continuous Map)
사상 이 점 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임의의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 가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그 성분 함수들 이 모두 연속인 것이다
- 가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열린 집합 의 역상 가 열린 집합인 것이다.
- 연속 함수의 합성은 연속 함수이다.
닫힌 집합 (Closed Set)
집합 이 자신의 모든 집적점(limit point)을 포함할 때 닫혀있다고 한다. 집합 가 닫혀있는 것과 그 여집합 가 열려있는 것은 동치이다.
코시 수열 (Cauchy Sequence)
안의 수열 가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코시 수열인 것이다.
중간값 정리 (Intermediate Value Theorem)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와 의 부호가 다르면, 인 가 존재한다.
최대-최소 정리 (Extreme Value Theorem)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인 함수는 그 구간 내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에서의 미분가능성 (Differentiability in )
미분가능한 함수 (Differentiable Function)
함수가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모든 차수의 편도함수가 존재하고 연속임을 의미한다 ( 등급). 미분가능한 함수에 대하여 혼합 편도함수는 미분 순서에 무관하다(예: ).
미분가능한 사상 (Differentiable Map)
사상 의 모든 성분 함수가 미분가능할 때, 를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사상의 미분 (Differential of a Map)
미분가능한 사상 의 점 에서의 미분(differential)은 선형사상 으로 정의된다. 이는 를 지나는 곡선 (단, )의 접선벡터 를 곡선 의 에서의 접선벡터 으로 보낸다.
- 의 표준기저에 대한 행렬은 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이다.
연쇄 법칙 (Chain Rule for Maps)
미분가능한 사상 와 의 합성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역함수 정리 (Inverse Function Theorem)
미분가능한 사상 에 대하여, 만약 점 에서 미분 가 동형사상(isomorphism)이면, 는 의 어떤 근방에서 미분동형사상(diffeomorphism)이다.1
의 열린 집합 에서 으로 가는 함수 가 이고, 야코비 행렬식이 이 아니면, 점 와 그 상 를 각각 포함하는 적절한 열린 근방 와 가 존재하여, 함수 는 에서 로 가는 미분동형사상(diffeomorphism)이 된다. 즉, 를 에 국한시키면 이 함수는 전단사 함수이며, 그 역함수 또한 존재하고 함수가 된다.
Footnotes
-
역함수 정리는 어떤 함수가 복잡한 비선형 함수라도 국소적으로 미분가능하고, 역함수를 가지면, 그 지점 근방에서는 함수를 마치 일대일 대응처럼 다룰 수 있고 그 역함수 또한 매끄럽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