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기본 형식 (The First Fundamental Form)
의 자연스러운 내적(inner product)은 각 접평면 에 내적을 유도한다. 이 내적은 에 대하여 로 표기하며, 에 대하여 는 에서의 과 의 내적과 같다.
점 에서 위에 정의된 이차 형식(quadratic form)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 이차 형식 를 점 에서 정칙 곡면 의 제1기본 형식(first fundamental form)이라 한다.
제1기본 형식은 곡면 가 주변 공간 의 자연스러운 내적을 어떻게 상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곡선의 길이, 벡터 사이의 각, 영역의 넓이 등 곡면 위의 기하학적 양들을 주변 공간을 참조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다.
점 에서의 매개화 에 연관된 기저 를 사용하여 제1기본 형식을 표현할 수 있다. 접선벡터 는 곡선 에 대하여 일 때 1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는 제1기본 형식의 계수라 불리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평면 (Plane)
가 정규직교벡터일 때, 평면 의 제1 기본 형식의 계수는 이므로 이다.
원기둥 (Cylinder)
원기둥 의 경우, 이므로 이다. 이는 원기둥이 국소적으로 평면과 등거리(isometric) 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나선면 (Helicoid)
나선면 의 경우, , 이므로, 계수는 이다.
곡선의 길이 (Arc Length)
매개화된 곡선 의 호의 길이 는 다음과 같다.
만약 가 좌표조각사상 안에 포함된다면,
이로 인해 호의 길이의 요소 를 다음과 같이 표기하기도 한다.
벡터 사이의 각 (Angle between Vectors)
두 매개화된 정칙 곡선 가 에서 만날 때, 그 사이의 각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특히, 매개화 의 두 좌표곡선 사이의 각 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좌표곡선들이 직교할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에 대해 인 것이다. 이러한 매개화를 직교 매개화(orthogonal parametrization)2라 한다.
구면과 등각항로 (Sphere and Loxodromes)
구면의 매개화 에 대하여 제1 기본 형식의 계수는 이다.
경선(meridian, )과 일정한 각 를 이루는 곡선인 등각항로(loxodrome)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곡선이 로 주어질 때, 와 경선의 접선벡터 사이의 각은 다음과 같다.
이를 정리하면 를 얻고, 적분하면 다음 등각항로의 방정식을 얻는다.
면적 (Area)
정칙 곡면 위의 유계 영역(bounded region) 이 좌표조각사상 안에 포함될 때, 의 면적(area)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또 다른 매개화 가 주어졌을 때, 이라 하면,
이므로, 넓이는 매개화 선택에 독립적이다.
이므로, 피적분함수는 제1 기본 형식의 계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원환면의 면적 (Area of a Torus)
매개화 로 주어진 원환면(torus)의 제1 기본 형식 계수는 이다. 따라서 면적 요소는 이다.
범위에서 적분하면 원환면의 전체 면적을 얻을 수 있다.
파푸스의 정리 (Pappus’s Theorem)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 위의 곡선 를 회전시켜 얻은 회전곡면(surface of revolution) 의 겉넓이 는 생성곡선 의 길이()와, 곡선 의 무게중심(centroid)이 회전하며 그리는 원의 둘레를 곱한 값과 같다.
- : 생성곡선(generating curve) 의 총 길이
- : 곡선 의 호의 길이(arc length) 매개변수
- : 호의 길이 에 해당하는 곡선 위의 점에서 회전축까지의 거리입니다.
Footnotes
-
직교 매개화(Orthogonal Parametrization)란 제1 기본 형식의 계수 중 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좌표계는 국소적으로 직교좌표계와 유사하게 행동하기 때문에 곡면의 기하학적 분석과 계산을 매우 단순하게 만들어 준다. 예를 들어, 호의 길이 요소는 로, 면적 요소는 로 간소화된다. 또한 크리스토펠 기호()의 계산이 쉬워져 측지선(geodesic)이나 평행이동(parallel transport)과 관련된 미분방정식을 다루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더 나아가, 만약 제2 기본 형식의 계수인 마저 이라면, 이 좌표곡선들은 그 점에서의 주곡률 방향(principal directions)과 일치하게 됩니다. 이 특별한 경우()에는 주곡률이 각각 와 로 매우 간단하게 구해지며, 가우스 곡률과 평균 곡률의 계산 역시 극도로 단순화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