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면은 국소적인 성질로 이해된다. 즉, 곡면 위의 한 점 의 성질은 해당 점을 포함하는 매개함수 에 의해 좌표계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좌표계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매개화 간의 변환이 미분가능해야만 그 위에서 정의되는 함수들의 미분 가능성 또한 좌표계에 의존하지 않게 정의된다.
매개변수의 변환(Change of Parameters)
정칙 곡면 위의 한 점 가 두 개의 매개화 , 에 의해 기술된다고 하자. 즉, 라면, 다음과 같은 좌표변환 함수
는 미분동형사상(diffeomorphism)이다.
- 는 미분가능하며
- 역함수 도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좌표변환이 가능함을 수학적으로 보장한다. 또한 야코비 행렬식다음과 같다.
곡면 위의 함수의 미분가능성
함수 가 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어떤 매개화 가 를 만족할 때, 함수의 성분 함수
가 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 이 정의는 좌표계 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음.
- 왜냐하면 이고, 가 미분가능하므로 합성도 미분가능하다.
- 고도 함수 (Height function) 단위 벡터 에 대해
는 고도 함수이며 위에서 미분가능하다.
- 거리 제곱 함수 고정된 점 에 대해
는 위에서 미분가능하다. (거리 는 에서 미분 불가능이므로 제곱을 사용)
미분가능성
두 정칙 곡면 가 주어졌을 때, 열린 집합 에 대해 가 연속 함수라고 하자. 이때 가 에서 미분가능하다는 것은, 매개화 , 가 존재하여 다음 합성함수
가 에서 미분가능한 경우이다.
회전곡면 (Surface of Revolution)
회전곡면은 평면상의 정칙곡선 를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생성되는 곡면이다. 곡선 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회전각 를 도입하여 회전곡면의 매개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생성곡선 (Generating Curve): -평면 위의 곡선 , 곡면 전체를 회전시켜 생성한다.
- 회전축 (Axis of Revolution): 곡선이 회전하는 축으로 여기서는 -축이다.
- 자오선 (Meridian): 생성곡선이 회전하면서 위치를 바꾼 곡선. 각 고정된 에 대해 로 정의되는 곡선. 곡면의 한 점에서 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경로.
- 평행선 (Parallel): 고정된 에서 만 변하게 하여 얻는 원형 궤도. 곡면을 따라 생성된 원, 즉 인 곡선.
특이점 (Singular Point)
회전곡면 에서 특이점이란, 야코비 행렬의 두 열벡터가 선형종속이 되는 점이다. 이는 곧 다음 조건에서 발생한다.
회전곡면에서 이런 특이점은 보통 인 지점에서 발생하며, 이는 생성곡선이 축에 닿을 때 나타난다.예를 들어 구면의 극점이나 원뿔의 꼭짓점이 이에 해당한다.
접곡면 (Tangent Surface)
정칙 곡선 에 대해, 곡선의 각 점 에서 그 점을 지나는 접선 방향으로 직선을 따라 확장하면, 이 직선들의 자취는 하나의 곡면을 형성한다. 이 곡면을 접곡면(tangent surface)라 하며, 다음과 같이 매개화된다.
- 는 곡선 의 매개변수
- 는 곡선의 각 점에서의 접선 방향 직선 위의 거리 파라미터
곡률이 이 아니라고 가정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