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칙 곡면(Regular Surface)
집합 가 정칙 곡면이라는 것은, 각 점 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매개화(mapping)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 는 의 열린 근방이며,
- 는 미분가능(differentiable)하고 일대일(Injective)이다.
- 도 연속이다.
- 각 점에서 도함수의 두 벡터가 선형독립(Linear Independence)이다.
즉, 매개함수 를 쓰면,
이고, 모든 점에서 다음 벡터가 선형독립이어야 한다.
이 조건을 정칙성 조건(regularity condition) 이라 한다.
정칙값(Regular Value)
매끄러운 함수 와 실수 에 대하여, 점 에서 기울기 벡터 일 때, 를 함수 의 정칙값(regular value) 이라 한다.
를 만족하는 가 정칙값이다.
정칙값의 역상(Inverse Images of Regular Values)에 의한 정칙 곡면 표현
정칙값 에 대해, 다음 역상(inverse image) 집합이 정칙 곡면이 된다.
이는 기하적으로 함수 가 상수 값을 갖는 레벨 곡면(level surface)을 의미한다. 이때 각 점에서의 접평면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곡면 위의 임의의 점 에서의 접평면은
즉, 기울기 벡터 가 곡면의 법선 벡터(normal vector)가 된다.
단위원구(Unit Sphere)
단위원구는 함수 를
로 놓았을 때, 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모든 점에서
이므로, 은 정칙값이 되고, 그 역상인 구면 는 정칙 곡면이다.
정칙 곡면 판별법 (Regularity Criterion)
함수 를 통해 주어진 곡면이 정칙 곡면인지 판별하기 위해서는, 다음 행렬식의 조건을 확인하면 된다.
매개함수의 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이
로 주어질 때, 이 행렬의 두 열벡터가 독립적이라는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소행렬식(minor determinant)이 이 아니라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이면, 이 곡면은 정칙 곡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