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 닫힌 곡선(Closed curve) 매끄러운 매개화 곡선 으로서, 모든 도함수가 끝점에서 일치하는 곡선.
-
단순 폐곡선(Simple closed curve) 닫힌 곡선 중 자기 교차점이 없는 곡선.
-
볼록 곡선(Convex curve) 임의의 점에서 접선을 그었을 때 곡선 전체가 그 접선의 한쪽에 놓이는 곡선.
회전지표 (Rotation Index)
단순 닫힌 곡선을 호의 길이 로 매개화하여 접선 벡터를
라 하면, 접선벡터 가 곡선을 한 바퀴 따라 움직이면서 전체적으로 회전한 각도 는 다음과 같이 곡률 를 통해 표현된다.
단순 닫힌 평면곡선 의 회전 지표(rotation index)는 정확히 이다. 즉, 단순 닫힌 곡선은 접선 벡터가 정확히 한 바퀴 회전한다는 의미이다.
등주 부등식 (Isoperimetric Inequality)
등주 부등식은 역사적으로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다루어진 기하학적 문제로, 주어진 길이로 가장 큰 면적을 둘러싸는 도형이 원임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단순 폐곡선 의 길이를 , 둘러싸는 면적을 라고 하면, 등주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등주 부등식은 단순 폐곡선의 길이와 면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등호는 원일 때만 성립한다.
네 꼭짓점 정리 (Four-Vertex Theorem)
단순 닫힌 볼록 곡선은 적어도 네 개의 꼭짓점(곡률의 극값을 갖는 점)을 가진다. 곡선을 호의 길이 로 매개화하여 곡률을 로 나타낼 때, 꼭짓점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닫힌 곡선 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이 등식을 활용하여, 곡률 가 만약 극값(최대, 최소)을 가지는 점이 2개 이하라면 모순이 발생함을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곡선은 최소 4개의 꼭짓점을 가져야 한다는 결론을 얻는다.
코시-크로프턴 공식 (Cauchy-Crofton Formula)
곡선의 길이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정칙 평면 곡선 의 길이 을 교차하는 직선의 수로 측정하는 공식이다. 평면 내 직선을 두 매개변수 로 나타내면, 직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곡선과 직선이 교차하는 점의 수를 라 할 때, 코시-크로프턴 공식은 다음과 같은 이중 적분으로 주어진다.
다음은 평면에서의 그린 정리(Green’s Theorem) 에 대한 정의와 수학적 표현, 의의를 설명한 것이다.
평면에서의 그린 정리 (Green’s Theorem in the Plane)
평면에서의 그린 정리는 2차원 영역 위에서의 이중적분(double integral)과, 그 경계 곡선에서의 선적분(line integral)을 연결시켜주는 정리이다. 이는 미분 형식과 벡터장 해석에서 나타나는 스토크스 정리(Stokes’ theorem)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도 있다.
수학적 표현
영역 이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자.
- 은 닫힌 곡선 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 곡선 는 양의 방향으로(반시계 방향) 매개변수화되어 있다.
이때 두 개의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좌변: 폐곡선 위에서의 선적분
- 우변: 영역 에서의 이중적분
벡터장 형태의 표현
벡터장 로 나타내면, 그린 정리는 다음과 같이 간단한 형태로도 표현 가능하다.
이때, 는 z축 방향의 단위벡터이며,
그린 정리를 이용한 넓이 계산
곡선 로 둘러싸인 평면의 영역 의 면적 를 구하고 싶다고 할 때, 그린 정리를 이용하면 영역 내부에서의 이중적분을 경계 곡선 위에서의 간단한 선적분 으로 쉽게 바꿔 계산할 수 있다.
평면 곡선 가 다음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매개변수화 되어있다고 하자.
이때, 그린 정리를 이용한 영역 의 넓이 공식은 다음과 같다.1
여기서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예시: 원의 면적 계산
예를 들어 반지름 인 원의 면적을 이 방법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린 정리로 계산한 면적은
Footnotes
-
면적을 구하기 위해 그린 정리의 벡터장 를 특별히 , 로 설정한다. 이때 그린 정리의 우변인 를 계산하면 이 되어 피적분함수가 정확히 로 설정된다. 따라서 그린 정리의 우변이 로 영역의 넓이를 나타내고, 좌변의 선적분과 같게 되어 결국 면적이 로 간단히 표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