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표준형(Local Canonical Form)

정칙 곡선 에 대해, 어떤 점 의 근방에서 곡선의 기하적 구조를 단순하게 기술하기 위해 Frenet basis을 기준으로 좌표계를 도입한다.

곡선을 으로 두고 Taylor 전개를 수행하면,

이며, 여기서 잔차 이다.

, ,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렇게 Frenet basis 에 대해 좌표를 가지는 국소 표준형 표현(local canonical form)은 다음과 같다:

즉, 축은 접선(tangent) 방향, 축은 주법선(normal) 방향, 축은 종법선(binomal) 방향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곡선을 근사한다.

기하적 응용

비틀림의 부호에 따른 의미

에서 알 수 있듯, torsion 의 부호는 곡선이 접촉 평면을 어떤 방향으로 관통하는지를 나타낸다.

  • : 곡선은 접촉면을 종법선(binomal)의 반대 방향으로 관통한다.
  • : 곡선은 접촉면을 종법선(binomal) 방향으로 관통한다.

접촉 평면(osculating plane)

접척 평면은 에서의 접선과 주법선 방향이 이루는 평면이다. 접촉 평면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평면의 극한으로 정의할 수 있다:

  • 한 점 에서의 접선
  • 점을 포함하는 평면

이므로, 곡률 인 경우 가 충분히 작을 때 이고 일 때는 뿐이다.

  • 곡선의 자취 는 주법선 방향이 가리키는 쪽의 반공간 안에 국소적으로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