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네 공식

곡선 가 호의 길이 로 매개변수화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일 때 각 점 에 대해, 단위 접벡터 , 법선벡터 , 종법선벡터 로 구성된 직교 기저 를 프레네 구조(Frenet–Serret frame)라고 한다. 이 벡터들은 다음의 프레네 공식을 만족한다1

  • : 곡률 (curvature), 곡선이 얼마나 휘어졌는지

  • : 비틀림 (torsion), 곡선이 얼마나 평면에서 벗어나는지

  • : 단위 접벡터

  • : 곡률 방향의 법선벡터 (곡선이 휘는 방향)

  • : 으로 정의되는 종법선벡터

  • 평면은 접촉법면 (osculating plane)

  • 평면은 법평면 (normal plane)

  • 평면은 전직평면 (rectifying plane)이라 한다.

곡률, 비틀림률 계산

  • 곡률2
  • 비틀림률3
  • 평면 곡선 의 경우, 곡률은
  • 가 구면 위의 곡선이고, 을 곡률 반경, 을 비틀림 반경이라고 하면

국소 곡선 이론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Local Theory)

미분가능한 함수 , 가 주어지면, 유일한 정칙 곡선 이 존재하며 이러한 곡선은 강체 운동에 의해서만 달라질 뿐,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동일한 를 가지는 두 곡선은 회전 및 평행이동만으로 서로 대응된다.

Footnotes

  1. , 이므로 는 skew-symmetric matrix (반대칭 행렬)이다. 이므로 항상 에 수직이다. 반대칭 행렬은 프레임이 길이를 보존한 채 회전(크기는 유지하고 방향만 바꾸는 유일한 방법)만 한다는 걸 수학적으로 보장해 주는 구조이다.

  2. 속도와 가속도의 외적의 크기를 속도 보정으로 나눈다.

  3. 속도와 가속도의 외적의 방향이 얼마나 회전하는가 측정한다.